가까운 친지 친척으로부터 상을 당해 연락이 오면 신속히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의논한다. 가까운 사이여도 복장을 갖춰 입고 영위에 분향 재배하며,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표현한다.
초상의 연락을 듣고 즉시 달려가 도와야 하는 처지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아직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성복을 끝내기를 기다려 문상하는 것이 예의이다.
과거에는 흰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구식 복장을 정장으로 입으며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눈에 띄는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이다.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 검은색 양복 혹은 감색, 회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 와이셔츠는 튀지 않는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 조석(朝夕)으로 전과 상식(上食)을 올리지 않고 염습 시에 묶지도 않는다.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 검은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무난하다.
- 검은색 구두에 검은색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착용하며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 그 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맞춘다. 색조 화장을 삼간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착용하지 않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학생 문상객의 옷차림
- 교복을 입거나 무채색 계열의 옷을 입는다.
- 모자를 쓰지 않는다.
- 조의 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근조(謹弔)', '조의(弔 儀)', '전의(奠儀)', '향촉대(香燭臺)'라고도 쓴다.
- 조의금 봉투 안에는 단자(單子)를 쓴다. 단자는 흰 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때 세로로 세 번 ,아래에 1cm정도를 가로로 접고, 가능하면 조의(弔儀) 문구나 이름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 단자 :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
-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쓴다. '일금 ○○원정'은 틀린 말이다.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 ○필' '백지 ○○권' 식으로 기재한다.
-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된다. 혹은 '근정(謹呈), 또는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한다.
-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 '○○댁(宅) 호상소 입납(護喪所入納)'이나 '○상가(喪家) 호상소 귀중'과 같이 쓰기도 하나 요즘은 호상 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 집안 풍습이나 신봉하는 종교가 다르더라도 조상을 갔을 경우 해당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좋다.
- 조의금을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기 때문에 문상 후 부의함에 넣는다.
풍습과 종교가 다르더라도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른다.
1. 빈소에 도착하여 상주에게 인사 드린 후 영정 앞에 무릎 꿇고 앉아 분향한다.
2. 분향 후 일어서서 두 번 절 한다.(아래 절하는 법 참조)
3. 물러나와 상주에게 절한다.
4. 안면이 있는 상주라면 짧게 위로의 말을 건넨다.
5. 조문 후에는 몸을 돌려서 나오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다.
절의 의미
-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상대방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공수법
-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한다.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 공수를 함으로써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주도록 하고,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자세를 정리한다.
공수의 특징
-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의 위치가 다르다.
- 공수는 평상시와 흉사 시에 손의 위치가 다르다.
- 공수는 어른을 뵙거나 의식 등의 행사에 참여할 때 사용한다.
- 공수는 배례의 기본동작이다.
※ 흉사는 대공복 이상의 상을 말한다.
평상시의 공수 자세
- 공수 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 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모아서 포갠다.
- 흉사 시 평상시의 남녀 자세와 반대로 한다.
남자의 절할 때 자세
- 양팔을 자연스럽게 둔다.(주먹을 가볍게 말아 쥔다.)
- 허리 앞으로 손을 모은다.(평상시 공수는 왼손을 위로, 흉사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여자의 절할 때 자세
- 양팔을 자연스럽게 둔다.(주먹을 가볍게 말아 쥔다.)
- 허리 앞으로 손을 모은다.(평상시 공수는 오른손을 위로, 흉사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큰절은: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 때를 대상으로 한다. (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 ,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 평절은: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 간)
문상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상을 당한 사람을 위로해야 할 자리 이지만 그 어떤 말도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범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연배, 평소의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심 어린 위로를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상주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친환으로 그토록 초민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뵙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놓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찌 말씀 올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 [용어] 망극 : 부모상에만 쓰인다.
상주의 아내인 경우
- “위로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 “옛 말에 고분지통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 [용어] 고분지통 : 부인이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상주의 남편인 경우
- “상사에 어찌 말씀을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 “천붕지통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용어]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상제의 형제인 경우
- “백씨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할반지통이 오죽하시겠습니까?”
※ [용어] 백씨 : 남의 맏이의 존댓말 / 중씨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 계씨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 [용어] 할반지통 : 몸의 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 “참척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경을 당하시어 얼마나 마음이 비통하십니까?”
고례에는 문상객이 망인 및 상주와의 관계에 따라 인사말이 달랐으나, 인사말의 내용이 모두 "슬픔을 위로 위문"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누가 죽었건 "얼마나 슬프십니까?"라고 한다. 상주의 대답하는 말도 고례에는 경우에 따라 달랐으나 내용은 한결같이 "슬프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오직 슬플 따름입니다."라고 대답하면 된다. 조문할 다른 손님이 기다리고 있으면 공손히 물러나고, 만일 한가하면 잠시 다른 위문의 인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주가 피곤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고인이 연하일 경우 문상방법
- 아내의 상이나 제사에는 절을 하나, 자식에게는 절하지 않는다.
- 아우, 조카 상에는 절하지 않는다.
- 친구 부인 상이나 이성 사돈 상의 경우
- 평소 인사하고 지내던 사이면 절을 하고, 평소 모르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지 않는 것이 과거의 원칙이나, 현대에는 두 경우 모두 절한다.
- 고인이 연하일 경우는 통상 절하지 않지만, 고인이 연상일 경우는 절하는 것이 도리이다.
※ 과거 선조들 가운데는 고인의 사망연유(순직 등)에 따라 예우 차원에서 연하일지라도 절을 하신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예는 현대에도 이어져 시행되고 있다.
연하인 상주에게 절하는지 여부
- 상주 나이가 연하일 경우에는 문상객이 먼저 절하지 않는다.
- 어른이 문상 시에는 상주가 먼저 절을 하면 답례를 할 뿐이다.
-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붙이는 것은 실례가 된다.
-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 상주가 나이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선 안 된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 소리로 이름을 부르면 안 된다.
-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한다.
-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조문 중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여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 망인이 연만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 과도한 음주, 도박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
- 상중에 출입객이 많기 때문에 방이나 거실의 가구를 치우고 넓은 공간을 확보한다.
- 실내에 장식된 예술품 등을 제거한다.
- 외투를 둘 수 있는 곳(옷걸이 등)을 준비한다.
- 신발장 공간을 확보하여 조문객들이 신발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 상제는 근신하고 애도하는 자세로 영좌가 있는 방에서 조객을 맞이한다.
- 문상하는 사람과 상주 모두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주는 죄인이기 때문에 말을 삼가나, “고맙습니다.” 또는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하여 조문객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 상제는 영좌를 모신 방을 지켜야 하므로 조문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